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채권
- rp
- 환매조건부채권
- 단기금융시장
- 톰슨 로이터
- 로이터
- par
- 자본
- Day Count Convention
- 장기금리
- 자본시장
- 리보금리
- Money Market
- YTM
- 기준금리
- 스왑
- CD91
- 라이보금리
- RP 금리
- 수익률
- 단기금리
- cd금리
- Day Count Method
- par rate
- 금융
- 금리
- 레포금리
- Today
- Total
목록채권 (2)
친절한 밤비의 금융 이야기
#1. Par Rate (Par Yield) Par라는 단어를 영어사전에 찾아봤다. Par value가 액면가라는 뜻이라면, Par Rate는 그 채권의 현재가치가 액면가와 같게 되는 Coupon Rate이다. 자, 아래 식을 한번 보자. * c: Coupon Rate (%), ZCR(t): t-year 시점의 Zero Coupon Rate 좌변은 만기가 n-year, 이자계산 및 이자지급 주기가 1년, 액면이 100인 채권의 현재가치이고 우변은 액면가 100이다. 좌변과 우변이 같게되는 Coupon Rate c를 찾으면 그것이 Par Rate (Par Yield)가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채권에서는 평가일 시점에 해당 Zero Coupon Rate와 만기가 정해져 있으니 위 공식에 대입해서 Par Ra..
#1. Day Count Convention 이란? 'Day Count Method (DCM)'이라고도 한다. 채권 또는 스왑 등의 금융 상품 거래에서 일수를 세는 방법이다. 결국에는 돈을 계산하기 위해서 즉, 이자를 계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이자(interest)는 이미 계약서 상에 정해졌을 텐데 왜 일수를 세야할까? 일수를 세는데에도 방법이 있는걸까? 철수가 친구에게서 일주일 동안 연 3% 이자를 주기로 하고 100만원을 빌렸다고 하자. 그럼 철수는 일주일 뒤에 이자를 얼마 줘야하는가. 철수 "올해는 윤년이라서 1년이 366일이니까 100만원 * 3% * 7/366 원을 이자로 주면 되겠다."친구 "오잉? 철수 너 작년에도 똑같이 일주일 빌려줬을 땐 365일로 나눠 놓고 왜 올해는 366일로 나눠?..